혈압,혈당,콜레스테롤,체중이 높아야 장수도 할수 있고 치매도 없다고 하니 참고로
보십시요~
♥"고령인의 건강 관리"
최근 일본을 비롯하여 유럽에서도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시점에서 노인을 2단계로
구분할려는 시도가 한창이라고 합니다.
65 ~ 74세를 準 고령인이라 하고 75세 이상을 고령인으로 하자는 추세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합니다.
일산 백병원 가정 의학과 양ㅇ ㅈ 교수님은 사람마다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75세
이후부터 신체기능이 급격히 떨어지고
80세 부터는 앓는 질환이 갑자기 늘어 난다며 75세를 전후로 신체상태와
건강관리법이 확연히 다르다고 말했습니다.
* 혈압 혈당관리
65~74세 노인은 혈압 혈당 목표치를 중 장년층과 비슷한 수준으로 강하게 잡아야
하지만 75세 이후부터는 좀 더 느슨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체중관리 운동 역시 74세까지는 강도 높게 관리해야 좋지만
75세 이후로는 느슨하게 관리해도 크게 문제될것이 없다고 합니다.
(물론 관리하면 금상첨화이구요 일부러 하지 말라는 얘기는 아님을 . . . . .ㅋㅋㅋ).
미국 당뇨병학회 가이드라인에서도 당화혈색소 관리를
◆건강한 노인은 6.5~7.0% ◆쇠약한 노인은 8.5% 이하
◆매우 쇠약한 노인은 9.0% 이하를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분당 서울대병원 내분비과 임 ㅅ 교수님은
◇집안일,목욕 같은 일상생활을 혼자서 무리없이 한다면 '건강한 노인'
◇누군가의 도움이 약간 필요하면 '쇠약한 노인'
◇혼자서는 불가능하면 '매우 쇠약한 노인'으로 구분한다면서
일상생활 수행 능력이 떨어지기 시작하는때가 75세 전후라고 말했습니다
비교적 젊고 75세 미만 노인은 살을 빼고 과식을 피해야 하지만
75세 이상이면서 쇠약해진 노인은 고기 等 단백질을 되도록 많이 먹으면서 체중이
줄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혈압관리도 비슷합니다
고령환자의 적절한 목표 혈압에 대한 결론은 확실하게 나온건 없지만
진료현장에서는 나이가 많을 수록 목표 혈압을 중 장년층 보다 높게 정하고
있습니다
◆65~74歲는 140/90 (mmHg)미만,
◆75歲 이상은 150/90(mmHg),또는 160/100(mmHg) 미만으로 관리하기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보라매 병원 가정 의학과 오 ㅂ ㅈ 교수님은
고령환자의 혈압을 너무 강하게 관리하면 저혈압등의 부작용으로 더 위험할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콜레스테롤도 마찬가지로 고령일수록 적절히 높게 관리하는
것이 오히려 유병율이 낮아 진다고 합니다.
2016년 국민건강 영양 조사를 보아도 75세 이후엔 콜레스테롤 수치를 적절히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콜레스테롤은 혈관벽의 주요 재료임으로 너무 줄어 들면 혈관벽이 약해져 뇌졸중,
심근경색 등의 위험이 오히려 높아 진다고 합니다.
또 나이 들수록 과 체중일때 치매 위험이 낮아 져서 의사들은 75歲이후부터는
고기,과일 등을 충분히 먹으라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75歲미만은 체중이 적을수록
75歲이상은 약간 과체중 이어야 사망율이 낮아 진다고 합니다.
분당 서울대병원 내분비과 임 ㅅ 교수님은 75歲이후의 과체중은 신체 기능
저하로 부터 일종의 완충제 역활을 한다고 하면서 체질량 지수(BMI)기준
23~25가 적당하다고 말했습니다.
체중이 치매에 미치는 영향도 75歲를 전후로 명확히 다르다고 합니다.
영국 옥스포드대학에서 노인 68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60~69歲의 경우 비만일때 치매위험이 정상체중보다 70%높았지만
70歲이상에서는 오히려 3%
80歲이상에서는 비만일때 치매 위험이 22% 낮은것으로 나타 났다고 합니다.
이상의 내용을 보면
75歲이후로는 너무 혈당과 혈압 그리고 콜레스테롤과 과체중 등에 묶여서 먹고
싶은것 마시고 싶은것 들을 너무 참지 마시고 맛있게 즐겁게 드시는 것이 건강하게
장수하는 비결이 아닌가 싶습니다
억지로 참아 봐야 스트레스가 더 건강을 해칠수가 있다구요~
남은 여생 즐겁고 행복한 노후로 마무리 지으시길 기원합니다~
~ 지인으로 부터 받은 카톡을 게재해 봤습니다~
'기타 > 건강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를 정화시키는 생호박즙과 비트쥬스 만들기 (0) | 2019.09.09 |
---|---|
치매예방 (0) | 2018.08.22 |
통풍(痛風) (0) | 2018.01.26 |
근감소증 진행을 완화할려면 .... (0) | 2017.07.19 |
턱에서 소리가 나요~ ((턱 관절 장애)) (0) | 2017.04.05 |